6087번: 레이저 통신
크기가 1×1인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진 W×H 크기의 지도가 있다. 지도의 각 칸은 빈 칸이거나 벽이며, 두 칸은 'C'로 표시되어 있는 칸이다. 'C'로 표시되어 있는 두 칸을 레이저로 통신하기 위해서
www.acmicpc.net
BFS를 하면서 회전이 총 몇 번 일어났는지 체크해주면 되는데
처음엔 방향 dir 벡터를 선언하고 그 방향과 다르면 +1 해주는 식으로 접근했다가
더 좋은 풀이가 보여서 참고했다.
결국 일직선으로 얼마나 갈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게 중요한데
BFS로 범위를 체크하는 부분에서 while문을 사용해서 범위가 끝날 때까지 직진하도록 한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|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queue>
using namespace std;
struct P { int x, y; };
int n, m;
int vis[101][101];
char a[101][101];
int dx[4] = { 1,0,-1,0 };
int dy[4] = { 0,1,0,-1 };
vector<P> node;
queue<P> q;
int bfs(int x, int y) {
vis[x][y] = 0;
q.push({ x,y });
while (!q.empty()) {
P cur = q.front(); q.pop();
if (cur.x == node[1].x && cur.y == node[1].y) return vis[cur.x][cur.y] - 1;
for (int i = 0; i < 4; ++i) {
int nx = cur.x + dx[i];
int ny = cur.y + dy[i];
while (nx >= 0 && nx < n && ny >= 0 && ny < m) {
if (a[nx][ny] == '*') break;
if (!vis[nx][ny]) {
vis[nx][ny] = vis[cur.x][cur.y] + 1;
q.push({ nx,ny });
}
nx += dx[i];
ny += dy[i];
}
}
}
}
int main() {
ios::sync_with_stdio(false); cin.tie(0);
cin >> m >> n;
for (int i=0;i<n;++i)
for (int j = 0; j < m; ++j) {
cin >> a[i][j];
if (a[i][j] == 'C') node.push_back({ i,j });
}
cout << bfs(node[0].x, node[0].y) << endl;
return 0;
}
|
cs |
그 외에는 딱히 어려울 것이 없었다.
'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OJ 11066 파일 합치기 (0) | 2020.12.05 |
---|---|
BOJ 10164 격자상의 경로 (0) | 2020.12.03 |
BOJ 14442 벽 부수고 이동하기 2 (0) | 2020.12.02 |
BOJ 3197 백조의 호수 (0) | 2020.12.01 |
BOJ 1517 버블 소트 (0) | 2020.11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