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190번: 뱀
'Dummy' 라는 도스게임이 있다. 이 게임에는 뱀이 나와서 기어다니는데, 사과를 먹으면 뱀 길이가 늘어난다. 뱀이 이리저리 기어다니다가 벽 또는 자기자신의 몸과 부딪히면 게임이 끝난다. 게임
www.acmicpc.net
뱀은 매 초마다 이동을 하는데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.
- 먼저 뱀은 몸길이를 늘려 머리를 다음칸에 위치시킨다.
- 만약 이동한 칸에 사과가 있다면, 그 칸에 있던 사과가 없어지고 꼬리는 움직이지 않는다.
- 만약 이동한 칸에 사과가 없다면, 몸길이를 줄여서 꼬리가 위치한 칸을 비워준다. 즉, 몸길이는 변하지 않는다.
deque를 사용하면 앞뒤로 삽입과 삭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.
일단 방향을 정해주는데 북, 동, 서, 남을 차례로 0, 1, 2, 3으로 설정해준다.
이러면 dx, dy해주는 부분은
int dx[4] = { -1,0,1,0 };
int dy[4] = { 0,1,0,-1 };
가 되고, 방향을 조절해주는 함수는 다음과 같이 쉽게 작성할 수 있다.
void dir(char C) {
if (C == 'L') !d ? d = 3 : d--;
else d == 3 ? d = 0 : d++;
}
처음에는 X와 C가 주어지면 X만큼 이동 후 C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인 줄 알았는데
X가 현재 초를 가르키는 거라 고생 좀 했다.
우선 뱀이 움직이는 부분은 쉽게 구현 가능하다.
아무것도 아닌 부분은 '.', 뱀이 위치하고 있는 부분은 'o', 사과가 존재하는 부분은 '*'로 놓고
1
2
3
4
5
6
7
8
9
10
|
if (a[nx][ny] == '.') { //이동하려는 곳이 아무것도 아니라면
dq.push_front({ nx,ny }); //덱에 넣어주고
a[nx][ny] = 'o'; //o로 바꿔준다
a[dq.back().first][dq.back().second] = '.'; //꼬리 부분은 다
dq.pop_back();
}
else if (a[nx][ny] == '*') { //사과가 존재하면
dq.push_front({ nx,ny });
a[nx][ny] = 'o'; //꼬리는 떼지 않는다.
}
|
cs |
위처럼 구현하고 dir함수를 통해 방향을 바꿔준다.
이제 남은 구현부분은 이미 충돌했거나, 범위 밖을 벗어나는 경우 더 이상 X와 C를 받지 않고
빠져나와야 하는데 나는 뱀이 이동하는 bfs 함수를 boolean으로 작성하여 해결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|
bool go = true;
for (int i = 0; i < l; ++i) {
int x; char c; cin >> x >> c;
go = query(x, c);
if (!go) break;
}
if (!go) cout << t << endl;
else {
while (dq.front().first >= 0 && dq.front().first < n && dq.front().second >= 0 && dq.front().second < n) {
++t;
if (a[dq.front().first+dx[d]][dq.front().second+dy[d]] == 'o') break;
dq.push_front({ dq.front().first + dx[d],dq.front().second + dy[d] });
}
cout << t-1 << endl;
}
|
cs |
만약 중간에 반복문을 빠져나온게 아니라 query를 전부 수행했다면
이제 벽에 박을 때까지 진행시켜주면 된다.
최종 코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61
62
63
64
65
66
67
68
69
70
|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deque>
using namespace std;
int n, k, l, d, t = 1;
char a[101][101];
deque<pair<int, int>> dq;
int dx[4] = { -1,0,1,0 };
int dy[4] = { 0,1,0,-1 };
void dir(char C) {
if (C == 'L') !d ? d = 3 : d--;
else d == 3 ? d = 0 : d++;
}
bool query(int x, char c) {
for (; t <= x; ++t) {
int nx = dq.front().first + dx[d];
int ny = dq.front().second + dy[d];
if (nx < 0 || nx >= n || ny < 0 || ny >= n) return false;
if (a[nx][ny] == '.') {
dq.push_front({ nx,ny });
a[nx][ny] = 'o';
a[dq.back().first][dq.back().second] = '.';
dq.pop_back();
}
else if (a[nx][ny] == '*') {
dq.push_front({ nx,ny });
a[nx][ny] = 'o';
}
else if (a[nx][ny] == 'o') return false;
}
dir(c);
return true;
}
int main() {
cin >> n >> k;
for (int i = 0; i <= n; ++i)
for (int j = 0; j <= n; ++j)
a[i][j] = '.';
for (int i = 0; i < k; ++i) {
int x, y; cin >> x >> y;
a[x - 1][y - 1] = '*';
}
a[0][0] = 'o';
dq.push_back({ 0,0 });
d = 1;
cin >> l;
bool go = true;
for (int i = 0; i < l; ++i) {
int x; char c; cin >> x >> c;
go = query(x, c);
if (!go) break;
}
if (!go) cout << t << endl;
else {
while (dq.front().first >= 0 && dq.front().first < n && dq.front().second >= 0 && dq.front().second < n) {
++t;
if (a[dq.front().first+dx[d]][dq.front().second+dy[d]] == 'o') break;
dq.push_front({ dq.front().first + dx[d],dq.front().second + dy[d] });
}
cout << t-1 << endl;
}
return 0;
}
|
cs |
'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OJ 12851 숨바꼭질 2 (0) | 2020.12.28 |
---|---|
BOJ 15686 치킨 배달 (0) | 2020.12.25 |
BOJ 1446 지름길 (0) | 2020.12.16 |
BOJ 1915 가장 큰 정사각형 (0) | 2020.12.13 |
BOJ 7579 앱 (0) | 2020.12.13 |